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초등학교 3~6학년 음악적 개념의 형성

by Milk_Tea 2022. 4. 14.
음악 학습에서는 음악의 체험을 통한 음악 이해가 큰 비중을 차지하며, 음악의 이해는 주로 음악적 개념의 형성과 일반화, 적용 등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개념은 경험을 통해 얻어진 상념 구조이다. 그것은 경험의 결과로서 생성된, 경험 후에 마음 속에 남게 된 정신적 내적 구조이며, 환경이나 사물, 사건을 자신과 의미있게 연관지어 수용한 독자적인 시도의 결과이다. 또한, 개념은 가르쳐 진다기보다는 환경이나 사물, 사건과의 정신적 신체적 만남을 통해 형성되고 개발되고 명료해지고 확대된다고 말할 수 있다. 어린이들은 음악을 듣고 노래부르고 악기를 연주하고 음악에 따라 몸을 움직이는 등의 활동을 통하여 음악을 이해하게 되고, 체험의 폭과 질에 따라 그이해의 폭과 깊이를 확장하게 된다. 여기에서, '음악을 이해한다.' 라는 말의 1차적인 의미는 어린이가 음악을 이루는 요소와 원리에 관한 개념을 형성하고, 그것을 음악적으로 다룰 수 있게 된다는 것을 뜻한다. 음악적 개념의 형성은 청감각의 작용으로부터 시작된다. 음악을 들을 때에 이루어지는 이 소리 감지의 과정이 음악에 관한 특정한 개념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음향과 관련된 여러 경험과 결합됨으로써 어린이에게 어떤 또 다른 개념을 제공하기도 한다. 어린이가 자기 나름의 음악적 개념을 형성하게 되면, 그 개념은 다음 경험의 내용을 더 풍부하게 만들며, 그 경험은 처음의 개념을 변화, 확대시킨다. 어린이가 계속해서 경험을 하고 그때마다 새로운 경험을 이전의 경험과 관련지음으로써 그의 상념 구조는 새롭게 형성된다. 어린이는 점차 음 현상들에 주목하기 시작하고, 그것에 따라 움직이거나 노래부르는 등의 반응을 나타내기도 한다. 어린이들은 경험한 음악에 관해 사고함으로써 그들 나름의 논리적인 과정을 통해 음악의 구조와 원리를 이해하기 시작할 뿐만 아니라, 점차 그러한 음 현상들의 아름다움과 의미를 느낄 수 있을 만큼 발전해 간다. 요컨대, 어린이는 음악을 체험할 때마다, 음악의 개념을 형성하며, 음악을 더 많이 체험할 수록 음악적 개념을 더 많이 형성하거나 확대하기 때문에, 학교의 음악 학습을 통하여 폭넓고 다양한 음악 체험을 지속적으로 제공받아야 한다. 따라서, 교사는 어린이들로 하여금 다양한 종류의 악곡을 접하고, 여러가지 음악 활동을 하도록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음악적 개념의 형성과 확대를 유도해야 하는 것이다. 초등학교 3-6 학년 어린이들로 하여금 음악적 개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우려면, 교사는 어린이들이 음악을 체험하는 가운데 음악을 구성하는 음 현상들(흐름결, 가락, 화음, 형식, 구조, 성부 조직, 빠르기, 큼작음, 음색, 음질 등)을 탐색하고 비교하고 생각하고 조작하고 예상하고 판단하고 평가할 기회를 제공하는 동시에, 그들이 느끼거나 알게 된 것을 어휘로 정의하게 하며, 그러한 개념을 자신의 음악 창작에 활용하게 함으로써 음악의 개념을 형성하고 일반화하고 그것을 음악적 상황에 적용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특히, 3-6 학년 어린이들은 사용 어휘가 급속히 팽창하기 때문에 교사가 음악 어휘를 다양하게 사용하고, 어린이들에게 음악적인 느낌을 어휘로 정의하게 하는 것은 음악적 개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지름길이 된다. 다음은 초등학교 어린이들이 중점적으로 학습해야 할 음악의 구성 요소와 생성 원리의 예들이다. 가 흐름결 * 3학년 : 기본 박(J, J.), 규칙박, 1박 음표(J, J.), 규칙박 위의 강세,센박과 여린 박의 차이, 2박자와 3박자의 형성, 박자표와 그 역할, 긴 소리와 짧은 소리의 연결, 소리의 쉼의 연결, 2마디 흐름결의 반복, 흐름결 악보의 원리 * 4학년 : 1박 음표의 분할과 합, 점음표의 형성, 쉼표의 역할, 4박자의 형성, 장단 *5학년 : 6박자의 형성, 흐름결의 반복 및 변화의 효과, 붙임줄과 음길이의 변화, 당김음의 형성, 변박자, 흐름결 기보의 원리, 세마치 장단* 6학년 : 박자와 흐름결의 관계, 당김음의 역할, 점음표(J., D)가 주는느낌, 변박자의 여러 가지, 장단과 거리의 관계, 굿거리 장단 (나) 가락 * 3학년 : 높은 소리와 낮은 소리의 연결, 2마디 가락의 윤곽, 2마디 가락의반복, 다장조 음계, 으뜸음과 다른 음들의 높이, 3음 음계 및 4음음계의 가락, 가락 악보의 원리 * 4학년 : 가락의 방향과 느낌, 가락의 진행, 형태와 느낌, 끝나는 느낌의가락, 계속되는 느낌의 가락, 5 음 음계와 가락 * 5학년 : 동형 진행, 가락의 반복 및 변화의 효과, 다장조와 바장조의 같은점과 다른 점, 가락 기보의 원리, 5 음 음계와 가락, 장음계 및 단음계와 가락, 숨쉬기와 가락 연결의 관계 * 6학년 : 큰악절의 형성과 발전, 가락의 진행 방향이 주는 느낌, 가락 음정이 주는 느낌, 음역, 동형 진행, 다장조와 사장조의 같은 점과 다른 점210 제II부 음악 지도의 실제 I 다 화음 * 3학년: 단음 가락과 돌림노래 및 2성부 가락의 다른 점, 가락에 화음반주가 붙는 경우와 붙지 않는 경우의 차이, 둘 이상의 소리가 함께 울리는 여러 경우 * 4학년 : 화음의 형성과 주요 3화음, 화음이 사용되는 악곡들 2* 5학년 : 노래의 반주를 위해 선택된 화음의 효과, 돌림노래에서 화음이 생성되는 과정* 6학년 : 화음 사용의 효과, 화음과 가락의 관계, 화음과 대선율 라 형식 * 5학년 : 작은악절의 형성, 메기고 받는 형식, 한도막형식의 짜임, 도돌이 표와 그 쓰임. * 6학년 : 두도막형식의 짜임, 통일과 대조, 주제의 발전, 악곡의 형식과 규모의 관계, 론도 형식 마 빠르기 * 3학년 : 빠른 가락과 느린 가락의 느낌의 차이 * 4학년 : 보통빠르기, 빠르게, 느리게 * 5학년 : 악곡의 내용과 빠르기의 관계* 6학년 : 여러 가지 빠르기, 빠르기의 변화 (바) 작음* 3학년 : 큰 소리와 작은 소리의 느낌의 차이* 4학년 : 크게, 작게, 아주 크게, 아주 작게 * 5 학년 : 악곡의 내용과 큼작음의 관계, 감정과 큼작음의 관계*6학년 : 여러 가지 큼작음, 큼작음의 변화 (사) 음색 * 3학년 : 어린이의 목소리와 어른의 목소리의 차이, 금관악기 음색의 특징(태평소와 가야금 소리의 차이, 트럼펫과 바이올린 소리의 차이) * 4 학년 : 여러 목소리와 목관악기 음색의 특징(리코더와 피아노의 음색 차이, 대금과 가야금의 음색 차이, 플루트와 혼의 음색 차이 등)* 5학년 : 여러 인성의 음색 특징과 음역의 관계, 현악기 음색의 특징, 독창과 합창 부분의 대비되는 음색* 6학년 : 목소리의 종류와 음역, 악기군, 여러 목소리의 결합으로 생기는 새로운 음색 효과, 여러 악기 소리의 결합으로 생기는 새로운 음색 효과 다음은 음악의 구성 요소와 생성 원리에 관한 개념을 형성하게 하는 데에 도움이 될 학습 활동들을 예시한 것이다. 가 흐름결에 관한 개념 * 박자기(메트로놈)로 기본 박의 소리 듣기 * 박자기 소리에 맞추어 무릎에 박 치기(보통빠르기의 박, 빠른 박, 아주 빠른박, 느린 박, 아주 느린 박 등을 비교하며 박을 치도록 한다.) * 음악을 들으면서 그 곡의 빠르기에 맞추어 발로 기본 박 치기 * 음악을 들으면서 기본 박에 따라 손 끝으로 가볍게 무릎치기, 몇 개의 기본 박이 한 벌을 이루는지 알아 내기(반복되는 셈과 여림의 형태에 주목하게 한다.) * 음악을 들으면서 기본 박에 따라 온 몸을 움직이기 * 행진곡을 들으면서 기본 박에 맞추어 제자리에서 걷기, 몇 개의 기본 박이 한 벌을 이루는지 알아 내기 (반복되는 셈과 여림의 형태에 주목하게 한다.) * 악보를 보고 몇 박자인지 알아 내기 * 선생님의 지휘하는 모습을 보고 몇 박자인지 알아 내기 * 선생님이나 친구의 몸 움직임을 보고 몇 박자의 움직임인지 알아 내기 * 선생님이 치는 피아노 음악의 빠르기(느리게 빠르게 점점 느리게 점점 빠르게 빠르게 느리게 보통빠르기 등)에 따라 걷기 * 규칙적인 음악을 들은 다음에, 규칙박과 불규칙박의 상태를 대조적으로 나타내기 * 규칙적으로 이어지는 센박과 여린박을 큰 소리와 작은 소리의 탬버린치기로 나타내기 (보기) 3박자의 경우, 탬버린의 북면이 위로 향하도록 놓고, '하나'는 주먹의 아래 부분으로 '둘'과 '셋'은 모아 구부린 손가락들 끝으로 친다.* 기본 박을 치며 노래부르기 * 동물이나 식물의 이름을 읽고, 그것을 손뼉치기로 나타내기 * 음표가 셋, 넷, 다섯 등으로 균등하게 분할된 경우 찾기, 소리내기 * 민음표와 점음표의 관계 탐색하기, 두 가지의 특징을 몸 움직임으로 나 타내고, 뚜렷이 구별하여 소리내기 * 제재곡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흐름결꼴 찾기 * 반복되면서 이어지는 흐름결꼴 찾기, 비슷하게 이어지는 흐름결꼴 찾기, 대조적으로 바뀌면서 이어지는 흐름결꼴 찾기 * 장단(세마치, 굿거리, 중모리, 자진모리, 타령 등)의 특징을 파악하고 치기* 당김음이 포함된 작은악절을 들어 보고, 당김음(강세가 이동된 음)의 생성 원리 탐색하기, 그 특징을 몸짓으로 표현하고, 강세를 뚜렷이 나타내며 소리내기 * 악곡에서 박자가 변한 부분 알아 내기 (보기) "초록 바다"를 노래부르거나 들으면서 어느 부분에서 박자가 변하는지를 알아 내도록 한다(4/4 - 2/4 - 4/4박자). * 박자의 차이에 따라 음악 표현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탐색하기 (보기) “초록 바다" 의 2/4박자의 부분을 한 번은 4/4박자의 지휘에 따라 부르게 하고, 이어서 2/4박자의 지휘에 따라 부르게 하면서 노랫소리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느끼게 한다. * 규칙박과 강세를 이용하여 특정한 박자 조직하기 * 여러 종류의 박자를 연결하여 재미있게 이어지는 변박 형태 만들기* 특정한 박자로 여러 가지 형태의 흐름결꼴을 만들어 치기, 적기 * 주어진 흐름결꼴과 비슷한 흐름결꼴로 2마디의 흐름결을 만들어 치기, 적기 * 주어진 흐름결꼴과 그에 대조직인 흐름결로 2마디 또는 4마디의 흐름결을 만들어 치기, 적기 * 쉼표를 포함한 흐름결꼴을 만들어 치기, 적기 (가락에 관한 개념 * 악기 소리를 듣고 음높이에 따라 몸 또는 손(높이)을 점점 올리거나 내리기 * 어린이 합창, 여성 합창, 남성 합창, 혼성 합창 등을 들으면서 높은 소리와 낮은 소리, 높은 가락과 낮은 가락 찾기 기 * 관악 합주, 현악 합주, 관현악, 피아노 독주, 해금 독주, 바이올린 독주,대금 독주 등을 들으면서 높은 소리와 낮은 소리, 높은 가락과 낮은 가락 찾기 * 자신의 목소리로 여러 높이의 소리내기(높은 소리, 낮은 소리, 중간 소리)* 친구의 소리, 어머니의 소리, 아버지의 소리, 할머니의 소리, 할아버지의 소리를 흉내내기 * 오선과 높은음자리표의 역할 탐색하기, 높은음자리표에 따른 '가온 다음과 그 밖의 '다' 음들의 위치 파악하기 * 으뜸음 '도’ (가온다 음)를 기준으로 '도와 솔’, ‘도 - 미’, ‘솔 - 미', '도- 솔 - 미 - 도' 등의 음정 관계 익히기 * '라' 음을 기준으로 '미 - 라’, ‘라 - 미', '라 - 솔', '미 - 라 - 솔’ 등의 음정 관계 익히기 * 실로폰, 오르간, 피아노 등으로 점점 올라가는 소리, 점점 내려가는 소리내기 * 악기 소리의 높이에 따라 몸 또는 손의 높이를 위 아래로 움직이기 면서 음높이에 따라 몸 또는 손의 높이를 위 아래로 움직이기 * 교재곡에서 소리의 높고 낮음이 어떤 느낌을 일으키게 하는지를 이야기하기 * 교재곡의 작은악절이나 전체에서 볼 수 있는 가락의 윤곽을 그려 보기* 피아노의 음높이를 다르게 하는 까닭을 탐색하기(피아노의 철사줄(string)이 길수록 굵을수록 낮은 소리가 나고, 짧을수록 가늘수록 높은 소리가 난다. 따라서, 피아노 철사줄의 길이와 굵기가 음높이를 다르게 한다.) * 5 음 음계, 7 음 음계, 장음계, 단음계 등의 소리를 듣고 구별하고, 그 구조를 탐색하기 * 음계 속에서 온음 및 반음 관계, 옥타브 관계 탐색하기 * 교재곡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가락꼴 찾기 * 가락의 반복, 약간의 변화, 큰 변화가 노래를 부를 때나 들을 때 어떤 느낌을 일으키는지를 이야기하기(통일감과 대조감, 그들의 조화 등에 관해 주목하도록 이끈다.) * 악곡에서 동형 진행 (sequence)의 가락을 찾아내고, 비슷한 동형 진행의 가락을 만들어 소리내기 * 악곡에서 각 프레이즈(phrase) 인식하기, 몸 동작으로 프레이즈 나타내기* 같은 작은악절과 비슷한 작은악절, 대조적인 작은악절 찾아 내기* 작은악절들의 같거나 비슷하거나 대조적인 가락 등이 가사와 어떤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탐색하기* 교재곡들이 시작하는 부분에 어떤 공통점이 있는지를 탐색하기* 교재곡들의 끝 부분에 어떤 공통점이 있는지를 탐색하기* 교사가 들려주는 짧은 가락을 똑같이 따라부르기* 교사가 들려주는 가락을 듣고 다른 가락으로 이어부르기* 교사의 가락스런 물음에 가락스럽게 대답하기 (보기) 계이름으로 소리내기 * 특별한 음정 관계를 이용하여 음계 (3 음 이상으로 구성된 음계) 조직하기* 특정한 음계를 바탕으로 여러 가지 형태의 가락꼴을 만들어 표현하기, 적기 * 주어진 가락꼴과 비슷한 가락꼴로 2마디의 가락을 만들어 표현하기, 적기 * 주어진 가락꼴과 그에 대조적인 가락꼴로 2마디 또는 4마디의 가락을 만들어 표현하기, 적기 * 쉼표를 포함한 가락골을 만들어 표현하기, 적기 다. 화음에 관한 개념 * 각각 8마디 정도의 단음 가락과 2성부 가락을 듣고 비교하기(오로간 또는 피아노로 연주하며 들려 준다.) * 단음으로 연주하는 경우(배운 노래)와 반주를 붙여 연주하는 경우를 비교하기 * 돌림노래를 녹음하여 들으면서 두 가락이 겹쳐져서 화음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주목하기 * 부분 2부합창을 듣거나 노래부르면서 제창 부분과 합창 부분의 소리가 어 떻게 다른지 비교하기, 또 그 부분들의 악보가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기* 서로 다른 가락 두 가락이 결합되는 경우와 하나의 가락에 반주가 곁들 여지는 경우에 소리가 어떻게 다른지 비교하기 * 화음을 이루어내기 위해 사용되는 여러 기법을 탐색하기 보기) 화성적인 악곡, 대위법적인 악곡, 오스티나토(단순한 음형의 가락 반복)를 사용한 악곡, 보르동(5도 또는 8도 음정으로 된 지속적인 화음)을 사용한 악곡 등을 고르고, 각 악곡의 일부분을 따로 녹음하여(연속)들려준다. * 우리 나라의 전통음악에서 흔히 나타나는 합음 현상(heterophony) 탐색하기 (보기) 시나위 합주, 민요의 받는 부분(제창) * 주된 가락에 붙여지는 반주 화성이 악곡의 표현을 얼마나 더 풍부하게 하는지에 주목하고, 그것에 관해 이야기하기 * 여러 형태의 화음 연결을 들으면서 화음의 성질 탐색하기 (보기) I - V - I, I-- I, I--V - I, I - W- v. - I 등을 각각 여러 번씩 들려 주고 느낌을 이야기하여 보게 한다. 특히V - I, V- - 이 어떻게 다른지를 비교하게 하고, 악곡의 마침에 가장 자주 사용된다는 점을 이야기한다. * 하나의 2부합창곡 (3도 및 6도 음정의 화음이 주로 사용된)의 악보를 집중적으로 분석하면서 동시에 울리는 두 소리가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탐색하기 * 장 3 도, 단 3도, 장 6도, 단 6도 등의 화음 듣고 가리기 * 건반악기로 여러 가지 3도 화음을 만들어 치기, 단순한 가락에 3도 화음을 붙여 연주하기 라 형식에 관한 개념 * 악곡을 들으면서 또는 악보를 보고 반복되는 흐름결이나 가락 발견하기* 악곡을 들으면서 또는 악보를 보고 조금 변화된 흐름결이나 가락 발견하기* 악곡을 들으면서 또는 악보를 보고 대조적인 흐름결이나 가락 발견하기* 악곡을 들으면서 대조적인 가락에 따라 대조적인 몸 움직이기* 감상곡을 들으면서 또는 악보를 보고 주제 부분 발견하기* 감상곡의 주제가 어떤 모습으로 발전(전개) 되는지를 주목하여 듣기* 교재곡을 노래부르면서 또는 악보를 보고 형식 알아 내기* 단순한 악곡을 들으면서 또는 악보를 보고 악곡의 형식 알아 내기* 민요의 메기는 부분과 받는 부분의 다른 점에 관하여 이야기하기* 악보에서 도돌이표의 역할을 알아 내기* 여러 가지 도돌이표를 조사하고, 그 사용 방법 알아 내기* 악곡의 짜임새에 관심을 가지고 듣기(보기 ) 반복과 대조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악곡들 - 한도막형식, 두도막형식, 세도막형식, 론도, 소나타형식 등 ○ 주제와 변주로 이루어지는 악곡들 - 주제와 변주곡, 인벤션, 카논 등이 여러 형태의 짜임새가 혼합된 악곡들 - 모음곡, 오페라 등 * $ $ $ $ $ * ****** 등으로 나타낸 그림이나 기호를 보고 변화된 A-B 형태의 소리 만들어 표현하기 * $$$$$$$$*** ***** $$$$$$$$ 등으로 나타낸 그림이나 기호를 보고 변화 반복되는 A-B-A 형태의 소리 만들어 표현하기 마) 구조에 관한 개념 * 교재곡에서 동기(첫 두 마디)가 악곡 전체에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탐색하기 * 교재곡에서 동기가 다음 두 마디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탐색하기 * 교재곡에서 첫째 작은악절이 다음 작은악절과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탐색하기 * 첫째 작은악절과 셋째 작은악절, 또는 둘째 작은악절과 넷째 작은악절은 각각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탐색하기 * 한도막형식의 악곡들에서 마지막 두 마디들이 어떤 공통점을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 보기 * 두도막형식의 악곡들에서 첫째와 셋째 작은악절의 끝마디들이 어떤 공통점을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 보기 * 민요나 전통음악의 대표적인 악곡들을 들으면서 악곡이 끝나는 부분의 특징 파악하기 * 마침꼴 합창을 하거나 들으면서 악곡이 끝나는 부분의 특징 파악하기* 특정 있는 동기를 만들고, 그 동기를 이용하여 작은악절을 만들어 표현하기* 하나의 작은악절로 큰악절을 만들어 표현하기 (바) 성부 조직에 관한 개념 * 여러 형태의 성부 조직 비교하기 (보기) 단음 가곡(단성 조직), 하나의 주된 가락과 둘 또는 셋의 화성적 성부로 이루어진 3 또는 4부 합창곡(화성적 조직), 독립적인 여러 성부가제6장 초등학교 3-6학년의 음악 지도 219 결합된 2 또는 3성부 합창곡 (다성적 조직)의 일부분을 각각 녹음하여들려 주고 그 음향을 비교하게 한다. * 교과서의 민요, 제창곡들의 음향 조직상의 단순성, 소박성 등에 관하여이야기하기 * 주된 가락과 화성, 합창을 각각 듣고 음향 조직 비교하기 (보기) 교과서의 2부, 3부 합창곡들 중에서 화성적으로 구성된 악곡을골라 먼저 주된 가락을 따로 들려 주고, 이어서 그것을 뒷받침하는 화성을 들려 준 다음, 합창을 들려 준다. * 다성적인 악곡에서 독립적인 각 성부와 완성된 악곡을 각각 듣고 음향조직 비교하기 (보기) 학급에 피아노를 배우는 학생들이 있으면 바흐(Bach)의 “인벤션” 중의 한 곡을 연주하게 한다. * 악곡을 듣고 화성적 조직의 음악인지 다성적 조직의 음악인지를 구별하기 사) 빠르기에 관한 개념 (* 선생님이 치는 피아노 음악의 빠르기에 맞추어 제자리에서 걷기 (보기) 보통빠르기로 조금 느리게 - 빠르게 - 점점 느리게 점점 빠르게 - 아주 빠르게 - 점점 느리게 - 보통빠르기 등으로 변화시켜 연주한다. * 박자기 소리에 맞추어 제자리 걷기 (보기) 한 번 칠 때 한 발걸음씩 걷기, 한 번 칠 때 두 발걸음씩 걸기, 두 번 칠 때 한발걸음씩 걷기 등 * 음악을 들으면서 박에 맞추어 몸 움직이기 * 보통빠르기의 음악을 들으면서 기본 박에 맞추어 제자리에서 걷기 * 교재곡에 알맞은 빠르기 발견하기 (보기) 특정한 악곡에 특정한 빠르기가 선정된 까닭을 발견하도록 유도한다.* 악곡에서 빠르기를 결정하는 데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하여 생각하기* 교재곡을 악보에 정해진 빠르기로 노래부르고, 또 그 밖의 다른 빠르기로 노래부르면서 빠르기에 따라 달라지는 느낌에 대하여 이야기하기* 빠르기가 악곡의 표현을 적절하게 하는 데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하여 생각하기 * 빠르기가 음악 연주의 질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하여 생각하기* 여러 가지 빠르기표의 뜻을 알고, 구별하여 노래부르기* 변화하는 빠르기가 악곡의 표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하여 생각하기* 빠르기가 정해져 있지 않은 악곡을 노래 불러 보고, 그 악곡에 어떤 빠르기가 알맞은지를 생각하기 아 큼작음에 관한 개념 * 음악을 들으며 점점 크게, 점점 작게 연주되는 부분 찾기* 점점 크게 또는 점점 작게 소리내기 (보기) 손뼉치기, 팔 - 손등 - 손가락 - 무릎 등 몸의 부분들을 치며 소리내기, 목소리로 소리내기, 악기로 소리내기 * 교재곡에 알맞은 큼작음 발견하기 (보기) 특정한 악곡에 특정한 큼작음이 선정된 까닭을 발견하도록 유도한다. * 악곡에서 큼작음을 결정하는 데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하여 생각하기* 교재곡을 악보에 정해진 큼작음으로 노래부르고, 또 그 밖의 다른 큼작음으로 노래부르면서 큼작음표에 따라 달라지는 느낌에 대하여 이야기하가 * 큼작음이 악곡의 표현을 적절하게 하는 데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하여 생각하기 * 큼작음이 음악 연주의 질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하여 생각하기* 여러 가지 큼작음표의 뜻을 알고, 구별하여 노래부르기 * 변화하는 큼작음이 악곡의 표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하여 생각하기* 음악에서 점점 큰 소리와 점점 작은 소리를 어떻게 표시하고 있는지 알아 보기 * 음악에서 큰 소리와 작은 소리가 사용되는 경우와 그 중의 한 가지 크기의 소리만 사용될 경우가 어떻게 다른지 이야기하기 * 큼작음이 정해져 있지 않은 악곡을 노래불러 보고, 그 악곡에 어떤 큼작음이 알맞은지를 생각하기 * 한 가지 물체를 두드리면서 여러 수준의 크고 작은 소리를 이어져 재미있는 소리 연결 만들기 (자) 음색 및 음질에 관한 개념 * 교실 안에 있는 여러 가지 물체(나무로 만든 물건, 쇠로 만든 물건, 플라스틱으로 만든 물건 등)를 두드려보며 소리 비교하기 * 여러 가지 흐름결 악기들을 치면서 소리의 특징 비교하기 * 여러 종류의 목소리로 연주되는 음악들(어린이 합창, 여성 합창, 남성 합창, 혼성 합창 등)을 듣고 소리의 특징 비교하기 * 여러 종류의 악기로 연주되는 음악들(관악 합주, 현악 합주, 관현악, 피아노 독주, 해금 독주, 바이올린 독주, 대금 독주 등)을 듣고 소리의 특징 비교하기 * 목소리와 악기 소리의 차이에 관하여 이야기하기 * 독주 음악을 들으면서 여러 사진 중에서 독주 악기 찾아 내기* 눈을 감고 친구의 목소리 알아 맞추기 * 친구의 목소리를 알아 맞출 수 있는 까닭이 무엇인지에 대해 이야기하기* 서로 다른 종류의 악기들로부터 다른 소리가 나는 까닭을 생각하기* 여러 가지 흐름결 악기들을 치면서 소리의 질을 비교하기 * 여러 종류의 목소리로 연주되는 음악들(어린이 합창, 여성 합창, 남성 합창, 혼성 합창 등)을 듣고 소리의 질을 비교하기 * 여러 종류의 기로 연주되는 음악들(관악 합주, 현악 합주, 관현악, 피아노 독주, 해금 독주, 바이올린 독주, 대금 독주 등)을 듣고 소리의 질을 비교하기 * 자신의 목소리로 여러 가지 소리내기 (보기) 정상적인 '아~' 소리내기, 입술을 다물고 허밍하기, 입술을 모아‘쉿-' 소리내기, 휘파람 불기 등 * 소리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발견하기 * 한 사람의 목소리로 내는 같은 높이의 음이 질적으로 다른 소리가 날 수있는 경우를 실험하기 * 한 사람이 목소리나 악기의 소리의 질을 조절할 수 있음을 발견하기* 합창이나 합주에서 음질을 조절할 필요가 있음을 발견하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