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4

음악교과의 학습 평가 학교 교육에서 학습 평가는 교과 지도의 전체적 이행 과정에서 수행되는 몇 가지 중핵적인 부분들 중의 하나이다. 그것은 교과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결과를 평가하고 목표 및 내용과 관련된 교과 체제 전반의 타당성을 검토하는 데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교사의 교수 - 학습 계획 및 방법의 적절성을 판단하고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확인하는 데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때문에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이다. 교사들은 누구나 그러한 학습 평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실제로 단위 기간별로 학습의 결과를 평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음악과의 학습 평가는 대부분의 교사들에게 매우 어려운 일로 여겨지고 있다. 그것은 대부분의 교사들이 “음악 학습의 어떤 결과를, 무엇으로, 어떻게 측정해야 하는 가".. 2022. 5. 3.
음악수업 모형과 수업 계획안의 예시 1. 일반적인 수업 모형의 예 음악과의 수업은 다른 교과들에서 일반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수업 모형들, 즉 학습자 개개인과 그들의 인성 발달에 초점을 맞춘 수업 모형들, 인간 집단력을 강조하는 수업 모형들, 개념의 지도 방법이나 학문의 탐구, 지적 능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초점을 맞춘 수업 모형 등을 참고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수업 설계를 할 수 있다. Bruce Joce와 Marsha Weil은 그들의 저서, “수업 모형”에서 여러 학자들이 개발해 놓은 22가지의 수업 모형을 소개하고 있다. 음악과 수업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교사가 이 모형들로부터 유용한 아이디어들을 제공받는다면 음악 수업은 더욱 효과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Joce와 Weil이 소개한 수업 모형은 정보 처리 모형과 인성 모형, 사회적 .. 2022. 5. 2.
음악 수업에서 학습과정의 단편적 조직 사례 다음은 하나의 제재곡을 위의 여러 접근 유형과 관련지어 조직한 단편 학습 과정의 예들이다.(충북 청원군 현도중학교 이윤제 교사 제공)2) 제재곡 분석 1) 제재곡 : “사공의 노래”(함호영 작사, 홍난파 작곡) (중학교 3학년) ① 박자 : 3/4 → 4/4 → 3/4 → 4/4 → 3/4박자 ② 흐름결 : 3/4 JT J. STINI J. , I 4/4 JI J. SSSSSI JD) ③ 조성 : 사장조 ④ 가락 : 동음 진행과 2, 3, 4, 5, 6도의 뛰어가기 진행의 가락이다. ⑤ 화성 : 주요 3 화음과 부3 화음에 의한 반주화음(화음기호 : G(I), C(V), D(V), Em(vi))⑥ 형식 : A(a+b), B(c+d)의 두도막형식⑦ 빠르기 : Andantino(조금 느리게), 부분적인 빠르.. 2022. 5. 1.
음악학습 지도 계획 음악과는 학생들에게 심미적인 음악 체험을 제공하는 동시에 음악적인 능력의 향상과 음악적 개념 및 원리의 이해를 도모하며, 음악 예술의 가치를 내면화하도록 이끄는 교과인 까닭에 음악과의 수업은 매우 다양한 목표와 내용을 가진다. 음악과의 수업이 다양한 목표와 내용을 가진다는 말은 수업의 전개 양상이 매우 복잡할 것이라는 예측을 가능하게 한다. 대개의 경우, 음악과의 수업은 다른 교과들보다 더 복잡하게 진행되는 경향을 띤다. 음악 학습에서는 음악 작품의 심미적인 질을 느끼고 통찰하는 실제적인 음악 활동 그 자체와 음악행위 기능을 익히는 활동, 음악적인 삶을 획득하는 활동, 내적 정서와 가치를 자극하는 활동 등이 폭넓게 이루어져야 하고, 그 활동들은 각각 다른 활동들과의 상호 관련 속에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 2022. 4.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