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4

중학생에게 음악 감상, 악보의 읽기 및 쓰기 지도하기 음악 감상 지도 음악 감상은 소리의 표현 형태를 심미적으로 감지, 수용함으로써 음악 작품의 아름다움과 예술적 의미를 향유하는 일이며, 감상 학습은 그것을 체험하는 것과 동시에 소리의 표현 형태를 감지하는 능력을 마련하거나 감상을 연습하는 과정이라는 점에서 중시된다. 그것은, 학교에서의 음악 감상 학습이 학습자들로 하여금 음악에 대하여 감성적 및 지적으로 감득, 반응하면서 특정한 느낌을 받고 표현 내용을 생각하며 음악미와 예술적 의미를 통찰하게 하는 과정이며, 그러한 과정은 곧 모든 음악 활동에 기초가 되는 음악적 감수성과 이해력, 통찰력을 마련하는 기회가 되기 때문이다. 1) 음악 감상과 감상 능력의 습득을 위한 지도 내용 소리가 조성적 및 시간적으로 어떻게 짜여지는가를 감지하고, 더 나아가 그것이 어떤.. 2022. 4. 21.
중학교 학생의 가창, 기악표현, 음악 창작의 지도 가창지도 중학생들의 가창 활동은 음악 논리적 사고를 통한, 즉 악보에 의한 학습을중 시하는 가운데 다양한 악곡의 심미적 체험과 함께 가창 능력의 향상, 음악적 심성의 변화 등을 추구하는 종합적인 과정을 거치게 된다. 가창 표현의 지도 과정에서는 흔히 정확한 흐름결과 가락, 명료한 음성과 정확한 발음, 바른자세 등이 강조된다. 그리고, 그러한 면들은 교사가 가락을 정확하게 들려주어 따라부르게 하거나 악보를 읽으면서 음의 높이와 길이를 생각하며 소리를 내게 하고, 바른 태도로 노래부르는 모습을 보여 줌으로써 교사가 기대하는 방향으로 학생들을 이끌 수 있다. 그러나, 교사의 지도에 따라 학생들이 노래를 정확하게 부를 수 있게 되었을 때, 그것은 외면에 나타나는 결과인데, 교사가 학생들이 정확한 소리를 낼 수 .. 2022. 4. 20.
중학교 학생의 음악적 성장을 돕는 음악 체험 교사가 중학생들에게 음악을 지도할 때 특히 유념해야 할 문제는 어떤 의도를 가지고 어떤 종류의 음악 체험을 어떤 과정을 통해 제공할 것인가 하는 점이다. 만약, 중학생들을 위한 음악 학습 지도가 '노래 가르치기'에 국한된다면, 이 시기에 긴요한 폭넓은 체험이 이루어질 수 없고, 그 결과로 중학생들의 음악적 성장은 제한적이 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노래부르기와 악기 연주는 중학생들에게 가장 중요한 음악 체험들임에 틀림이 없지만, 그 밖에도 그들이 체험해야 할 음악 활동은 훨씬 광범위하고, 노래를 가르치고 악기를 다루더라도 교사가 어떤 의도를 가지고 어떻게 지도하는가가 중요한 것이다. 만약, 교사가 노래부르기와 악기 연주를 음악 지도의 전부라고 인식하고 있거나 그것을 오락적인 목적으로만 이용한다면, 그는 .. 2022. 4. 19.
중학생의 음악적 성장 특징 피아제(Jean Piaget)에 따르면, 중학교 학생들의 인지 발달 단계는 형식적 조작기(formal operational stage, 11세~15세)에 해당되며, 이 시기를 거치는 동안 청소년들의 인지 구조는 대체로 거의 완전한 성숙의 수준에 이르게 되고, 사고의 논리적 조작이 자유로워져서 거의 모든 류의 문제를 논리에 의해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피아제는, 청소년들이 이 기간에 가설적 언어 문제를 다룰 수 있게 되고, 과학적 추리와 가설의 설정 및 검증 등을 할 수 있게 된다고 주장한다. 이 형식적 조작기의 사고는 그 본질상 가설연역적 사고이며, 명제적 사고라는 것이다. 또, 이 시기의 청소년들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체계적으로 문제를 검토하거나 필요한 전략을 세울 수 있게 되며, 현재의 상태.. 2022. 4.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