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4

고등학교 학생의 음악적 개념의 형성 음악 학습에서 음악의 체험을 통한 음악 이해는 가장 중요한 목표들 중의 하나이며, 음악의 이해는 주로 음악적 개념의 형성과 일반화, 적용 등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개념은 경험을 통해 얻어진 상념 구조이다. 그것은 경험의 결과로서 생성된 정신적 내적 구조이며, 환경이나 사물, 사건을 자신과 의미있게 연관지어 수용한 독자적인 시도의 결과이다. 그리고, 그것은 환경이나 사물, 사건과의 정신적 신체적 만남을 통해 형성되고 개발되고 명료해지고 확대된다. 학생들은 음악을 듣고 노래부르고 악기를 연주하고 창작하는 등의 음악 체험을 통하여 음악을 이해하게 되고, 그러한 체험의 폭과 질에 따라 이해의 폭과 깊이를 확장하게 된다. 여기에서 '음악을 이해한다' 라는 말의 의미는 학습자가 음악을 이루는 요소와 원리에 관.. 2022. 4. 29.
고등학생의 음악적 성장을 위한 음악 감상 지도 고등학생들에게 있어서 음악 감상은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가지며, 교육과정 내용상 큰 비중을 차지한다. 그것은 그들이 예술을 수용할 수 있는 폭과 깊이를 이미 그들의 내면에 마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고등학교에서의 음악 감상 체험의 질과 범위와 수준이 그들의 음악적 삶의 양상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기 때문이다. 사실상 고등학생들 중에 음악 연주에 참여하고 있거나 지속적으로 공부하는 학생의 수는 매우 적기 때문에 대부분의 학생들은 감상의 기회를 통해 높은 수준의 음악을 접하게 된다. 그래서, 음악 교사는 고등학교의 음악 감상 지도가 성공적일 경우와 그렇지 못할 경우에 다르게 나타날 졸업 후의 학생들의 음악에 대한 태도와 음악적인 삶의 모습을 비교 상정해 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음악 감상은 소리의 표현.. 2022. 4. 28.
고등학교 음악수업에서 가창 표현의 지도 고등학생들의 가창 활동은 음악 논리적 사고를 통한, 즉 악보에 의한 학습을 중시하는 가운데 다양한 악곡의 심미적 체험과 함께 음악의 개념과 원리 이해, 가창 표현 능력의 향상, 음악적 심성의 계발 등을 추구하는 종합적인 과정을 거치게 된다. 가창 표현의 지도 과정에서는 흔히 정확한 흐름결과 가락, 명료한 음성과 정확한 발음, 바른 자세 등이 강조된다. 그리고, 그러한 면들은 교사가 악보를 읽으면서 음의 높이와 길이를 생각하며 소리를 내게 하고, 정확한 프레이즈를 들려 주며, 바른 태도로 노래 부르는 모습을 보여 줌으로써 교사가 기대하는 방향으로 학생들을 이끌 수 있다. 그러나, 교사의 지도에 따라 학생들이 노래를 정확하게 부를 수 있게 되었을 때, 그것은 외면에 나타나는 결과인데, 교사가 학생들이 정확한.. 2022. 4. 27.
고등학생의 음악 표현과 음악적 능력의 습득을 위한 지도 내용 고등학생들에게 음악을 지도할 때, 교사가 특히 유념해야 할 문제는 “어떤 의도를 가지고 어떤 종류의 음악 체험을 어떤 과정을 통해 제공할 것인가?"하는 점이다. 만약, 고등학생들을 위한 학습 지도가 '노래 가르치기' 나'음악 감상'에 국한된다면, 이 시기에 긴요한 폭넓은 체험이 이루어질 수 없고, 그 결과로 그들의 음악적 성장은 제한적이 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노래부르기와 음악 감상은 고등학생들에게 가장 중요한 음악 체험들임에 틀림이 없지만, 그 밖에도 그들이 체험해야 할 음악 활동은 훨씬 광범위한 것이며, 더욱이 노래를 가르치고 음악을 감상하게 하더라도 교사가 어떤 의도를 가지고 어떻게 지도하는가가 중요한 것이다. 만약, 교사가 노래부르기와 음악감상을 음악 지도의 전부라고 인식하고 있거나 그것을 오락.. 2022. 4.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