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기 음악적 개념의 형성
유아들은 음악을 듣고, 음악에 따라 몸을 움직이고, 음향을 탐색하고, 노래부르고, 악기를 연주하고, 즉흥적으로 소리를 만들어 내는 등의 활동을 통하여 음악을 느끼고 이해하게 되며, 그 체험의 폭과 질에 따라 느낌과 이해의 폭과 깊이를 확장하게 된다. 음악을 느끼고 이해하게 된다는 말은 어린이가 음악을 구성하는 요소와 음악이 생성되는 원리를 감지하고 그에 반응하고 그에 관한 개념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을 뜻한다.
어린이가 어떤 음악을 접할 때, 그는 악곡이 제공하는 음향 현상들로부터 특정한 느낌을 가지며, 그 느낌에 따라 자기 나름의 음악적 개념을 형성하게 된다. 물론, 초기의 형성된 개념은 대체로 명확하지 못한 경우가 많지만, 그 경험이 반복되면서 그 개념은 점차 명확해진다. 다시 말하면, 일단 형성된 개념은 음악적 제 현상을 감지 수용하는 체험의 양상에 따라 점점 더 명료해지고 확대되며, 그 결과로 음악을 점점 더 깊이 느끼고 이해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음악적 개념의 형성은 청각 기관과 청감각의 작용으로부터 시작된다. 음악을 들을 때 이루어지는 이 소리 감지의 과정이 음악에 관한 특정한 개념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소리를 내고 있는 사람이나 물체를 보거나 만지는 등의 구체적인 경험과 결합됨으로써 어린이에게 더 확대된 개념을 제공하기도 한다.
요컨대, 어린이는 음악을 체험할 때마다 음악에 관한 개념을 형성하며, 음악을 더 체험할 수록 음악에 관한 개념을 더 확대 개발하기 때문에, 유아기부터 폭넓고 다양한 음악 체험을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음악에 관한 개념의 개발을 유도해야 하는 것이다. 유아기 어린이들로 하여금 음악적 개념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도우려면, 교사는 어린이가 음악을 체험하는 가운데 음악을 구성하는 음 현상들과 음악이 생성되는 원리들, 즉 큼작음과 음색, 흐름결, 가락, 빠르기, 형식 등을 탐색하고, 비교하고, 생각하고, 예상하고, 판단할 기회를 제공해야 하며, 느끼거나 알게 된 것을 그들이 이해할 수 있는 어휘로 표현하게 하고 또 교사가 정의해줌으로써 음악적 개념을 형성하게 해야 하는 것이다.
가 큰 소리, 작은 소리에 관한 개념
* 큰 소리, 작은 소리의 음악 듣기
(녹음된 음악을 들려주면서 약 30초 간격으로 프레이즈에 맞추어 음량을 크게, 작게 조정한다.)
* 점점 크게, 점점 작게 연주하는 음악 듣기
* 음악의 소리의 크고 작음에 따라 흔들기
(어린이를 품에 안고 음악이 크고 힘찬 부분에서는 힘차게 흔들고, 작고 부드러운 부분에서는 부드럽게 흔든다.)
* 큰 소리, 작은 소리 내기 - 목소리로 소리 내며 비교하기, 악기로 소리내며 비교하기
* 점점 크게 또는 점점 작게 소리 내기 - 손뼉치기, 팔-손등손가락-무릎 등 몸의 부분들을 치며 소리 내기, 목소리로 소리 내기, 악기로 소리 내기* 음악을 들으면서 음악 소리의 크기에 따라 흐름결악기로 함께 치기에서는 작게 친다.)
(음악 소리가 큰 부분에서는 크게 치고, 작은 부분* 음악을 들으면서 음악 소리의 크기에 따라 몸 움직이기
(음악 소리가 큰 부분에서는 큰 동작으로, 작은 부분에서는 작은 동작으로 느낌을 나타낸다.)
* 병아리, 토끼, 거북이, 코끼리 등의 걸음걸이가 각각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를 말로 설명하고, 그것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소리로 나타내기
* 동물들의 걸음걸이에서 느껴지는 특징을 그림으로 나타내기
* 목소리나 악기로 큰 소리를 낼 때와 작은 소리를 낼 때, 사람의 움직임이나 모습이 각각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관해 이야기하기* 음악에서 큰 소리와 작은 소리가 사용되는 경우와 그 중의 한 가지 크기의 소리만 사용될 경우가 어떻게 다른지 이야기하기
나. 음색에 관한 개념
* 교실 안에 있는 여러 가지 물체(나무로 만든 물건, 쇠로 만든 물건, 플라스틱으로 만든 물건 등)를 두드려보며 소리 비교하기
* 교실 밖을 돌아다니면서 여러 가지 물체를 두드려보며 소리 비교하기* 주위에서 들려오는 소리를 녹음하여 주의깊게 들으면서 비슷한 종류의 소리와 다른 소리 분류하기
* 주위에서 들려오는 소리를 녹음하여 주의깊게 듣고 각 특징을 목소리로 흉내내기
* 여러 가지 흐름결악기들을 치면서 소리 비교하기
* 여러 종류의 목소리로 연주되는 음악들(어린이 합창, 여성 합창, 남성 합창, 혼성 합창 등)을 듣고 소리 비교하기
* 여러 종류의 악기로 연주되는 음악들(관악 합주, 현악 합주, 관현악, 피아노 독주, 해금 독주, 바이올린 독주, 대금 독주 등)을 듣고 소리 비교하기* 독주 음악을 들으면서 여러 사진 중에서 독주 악기 찾아내기
* 자신의 목소리로 여러 가지 소리 내기
(정상적인 '아 -' 소리 내기, 입술을 다물고 허밍하기, 입술을 모아 '쉿-'소리 내기, 휘파람 불기 등)
* 눈을 감고 친구의 목소리 알아 맞추기
* 친구의 목소리를 알아 맞출 수 있는 까닭이 무엇인지에 대해 이야기하기
다) 박, 음길이, 흐름결에 관한 개념
* 시계의 초침 돌아가는 소리 듣기 ..… 일정하게 지속되는 박 느끼기* 박자기 소리에 맞추어 양팔을 옆으로 흔들기, 발로 박 치기* 음악의 빠르기에 박자기의 박을 맞춘 다음에 똑같이 소리나게 하여 듣기* 음악을 들으면서 박에 따라 양팔을 옆으로 흔들기, 발로 박 치기
* 박자기(메트로놈) 소리 듣기
* 음악을 들으면서 박에 따라 손뼉치기
(손뼉을 칠 때마다 '박'이라고 말한다.)
* 음악을 들으면서 박에 따라 온 몸을 움직이기
* 보통빠르기의 음악을 들으면서 박에 맞추어 제자리에서 걷기
* 줄넘기를 하는 어린이를 보면서 줄이 땅에 닿을 때마다 수 세기
* 공을 땅에 퉁기는 어린이를 보면서 공이 땅에 닿을 때마다 수 세기* 선생님이 치는 피아노 음악의 빠르기 (느리게 빠르게 점점 느리게 점점 빠 르게 빠르게 느리게 보통빠르기 등)에 따라걷기
* 규칙적인 음악을 들으면서 박을 그리기
( | | | 1)
* 불규칙박을 그리기
(| ||||||||
* 규칙적으로 이어지는 센박과 여린 박을 큰 소리와 작은 소리의 손뼉치기로 나타내기
© * * * * * * * *)
* 규칙적으로 이어지는 센박과 여린박을 큰 소리와 작은 소리의 탬버린치기로 나타내기
(3박자의 경우, 탬버린의 북면이 위로 향하도록 놓고, '하나'는 주먹의 아래 부분으로, '둘'과 '셋'은 모아 구부린 손가락들 끝으로 친다.)
* 주위에서 들리는 소리들 중에서 긴 소리와 짧은 소리 구별하기
* 기본박을 치며 노래부르기
* 주위에서 들리는 소리의 길이를 목소리로 흉내내기
(비행기 날아가는 소리, 개 짖는 소리, 초인종 소리, 교회 종소리, 망치 소리 등)
* 동물이나 식물의 이름을 읽고, 그것을 손뼉치기로 나타내기
* 주위에서 들리는 여러 가지 소리의 길이를 흐름결악기로 나타내기 (빗소리, 말 달리는 소리, 기차가 역에 도착하는 소리, 새들 지저귀는 소리 등)
* 들려주는 소리를 듣고 손뼉치기
* 노래를 부르면서 긴 소리와 짧은 소리를 손으로 나타내기
(손을 몸 앞 쪽에 들어 올려서 긴 소리는 손을 계속 움직이고, 짧은 소리는 움직임을 멈춘다.)
| * 긴 소리와 짧은 소리를 그림으로 나타내기
(긴 소리짧은 소리 _)
* 동물이나 식물의 이름을 적어 놓고, 작은 북으로 들려주는 소리가 그 중의 어떤 이름을 나타내는지 알아 맞추기
* 어린이들이 잘 아는 노래의 흐름결을 듣고 무슨 노래인지 알아 맞추기(어린이들이 잘 아는 노래의 흐름결을 손백이나 흐름결악기로 쳐준다.)
*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 쪽은 박자를 치면서 노래부르고 다른 쪽은 흐름결을 치며 노래부르기
* 한 박에 한 번씩 소리 내는 경우, 한 박에 두 번 소리 내는 경우, 두 박이나 세 박 동안 계속 소리 내는 경우에 관하여 이야기하기
라 음높이와 가락에 관한 개념
* 교실 안에 있는 여러 가지 물체(나무로 만든 물건, 쇠로 만든 물건, 플라스틱으로 만든 물건 등)를 두드려보며 음높이 비교하기
* 교실 밖을 돌아다니면서 여러 가지 물체를 두드려보며 음높이 비교하기
* 주위에서 들려오는 소리를 녹음하여 주의깊게 들으면서 비슷한 음높이의 소리와 다른 음높이의 소리 분류하기
* 주위에서 들려오는 소리를 녹음하여 주의깊게 듣고 음높이를 목소리로 흉내내기
* 여러 가지 가락악기들로 소리내면서 음높이 비교하기
* 악기 소리를 듣고 음높이에 따라 몸 또는 손의 높이를 점점 올리거나 내리기
* 어린이 합창, 여성 합창, 남성 합창, 혼성 합창 등을 들으면서 아주 높은 소리, 아주 낮은 소리, 높은 가락, 낮은 가락 찾기
* 관악 합주, 현악 합주, 관현악, 피아노 독주, 해금 독주, 바이올린 독주, 대금 독주 등을 들으면서 아주 높은 소리, 아주 낮은 소리, 높은 가락, 낮은 가락 찾기
* 독주 음악을 들으면서 여러 사진 중에서 독주 악기 찾아내기* 자신의 목소리로 여러 높이의 소리내기
(높은 소리, 낮은 소리, 중간 소리)
* 어린이의 소리, 어머니의 소리, 아버지의 소리, 할머니의 소리, 할아버지의 소리를 흉내내기
* 할머니나 어머니가 아기를 재우실 때 부르시는 노래부르기('미'와 '라두 음을 사용한다.)
* 책의 문장을 읽으면서 어떤 부분에서 높은 소리로 읽고 어떤 부분에서 낮은 소리로 읽는지 구별하기, 또 그렇게 읽는 것이 높낮이 없이 읽는 것과 어떻게 다른지 이야기하기
* 시소(seesaw)를 타면서 올라 가면 높은 소리, 내려 가면 낮은 소리 내기* 실로폰, 오르간, 피아노 등으로 점점 올라가는 소리, 점점 내려가는 소리내기
* 악기 소리의 높이에 따라 몸 또는 손의 높이를 위 아래로 움직이기* 노래를 부르면서 음높이에 따라 몸 또는 손의 높이를 위 아래로 움직이기
* 실로폰 또는 피아노의 음높이를 다르게 하는 까닭을 탐색하기(실로폰의 음판이 길수록 낮은 소리가 나고, 짧을수록 낮은 소리가 난다. 따라서, 실로폰 음판(소리나는 물체)의 길이가 음높이를 다르게 한다. 피아노의 철사줄(string)이 길수록, 굵을수록 낮은 소리가 나고 짧을수록, 가늘수록 높은 소리가 난다. 따라서, 피아노 철사줄의 길이와 굵기가 음높이를 다르게 한다.)
* 교사가 들려주는 짧은 가락을 똑같이 따라부르기
* 교사가 들려주는 가락을 듣고 같은 가락을 이어부르기
* 교사의 가락스런 물음에 가락스런 대답하기(전통적인 3음(미라솔)을 사용한다.)
* 친숙한 노래를 부르게 하고, 그 노래에 사용된 두 음(예: 도와 솔)을 익힌다(두 소리를 들려주고 같은 소리인가 다른 소리인가, 무엇이 다른가를 이야기하게 한다. 그리고, 두 소리의 높이를 손을 움직여 나타내면서 소리 내어보도록 한다.)
* 친숙한 노래를 부르게 하고, 그 노래에 사용된 세 음(예: 도, 미, 솔)을 익힌다.(세 소리를 들려주고 같은 소리인가, 무엇이 다른가를 이야기하게 한다. 그리고, 세 소리의 높이를 손을 움직여 나타내면서 소리내어 보도록 한다.)
* 공책이나 칠판에 친숙한 노래의 음높이와 길이 그리기
(마) 음악 행위를 익히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기초 원리들 익히기
* 상징물(그림, 그림악보, 짧은 선악보, 글자악보)을 보면서 소리(길이, 높이)로 나타내기
* 상징물(긴 선악보)을 보면서 높이(가락)의 방향에 따라 소리내기* 익숙한 노래를 부르며 악보 보기
* 악곡의 작은악절(phrase)을 표시한 선악보를 보면서 같은 것은 같게, 다른 것은 다르게 노래부르기
* 작은악절 단위로 노래 듣고 부르기
* 작은악절을 노래부르기 전에 반드시 숨을 쉬기
* 작은악절을 단위로 각각 다른 흐름결악기를 치며 노래부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