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음악 수업에서 학습과정의 단편적 조직 사례
Milk_Tea
2022. 5. 1. 11:37
다음은 하나의 제재곡을 위의 여러 접근 유형과 관련지어 조직한 단편 학습 과정의 예들이다.(충북 청원군 현도중학교 이윤제 교사 제공)2) 제재곡 분석
1) 제재곡 : “사공의 노래”(함호영 작사, 홍난파 작곡) (중학교 3학년)
① 박자 : 3/4 → 4/4 → 3/4 → 4/4 → 3/4박자
② 흐름결 : 3/4 JT J. STINI J. , I
4/4 JI J. SSSSSI JD)
③ 조성 : 사장조
④ 가락 : 동음 진행과 2, 3, 4, 5, 6도의 뛰어가기 진행의 가락이다. ⑤ 화성 : 주요 3 화음과 부3 화음에 의한 반주화음(화음기호 : G(I), C(V), D(V), Em(vi))⑥ 형식 : A(a+b), B(c+d)의 두도막형식⑦ 빠르기 : Andantino(조금 느리게), 부분적인 빠르기 : rit(점점 느리게)
⑧ 큼작음 : p, mp, nf =, >
⑨ 음색 : 목소리, 건반악기, 타악기
3) 주요 학습 내용 및 수업 적용의 유형
① 제재곡의 흐름결 보고 읽기, 치기(경험적 접근)
- 제재곡의 흐름결을 제 힘으로 칠 수 있도록 한다.
교사는 주요 흐름결을 4가지로 구성하여 플래시 카드로 만들고, 학급을 4분단으로 나누어, 교사가 제시하는 카드에 의하여 해당 분단은 그 흐름결을 정확히 읽도록 한다. 이때 기본 박을 계속해서 치고, 카드를 바꿀 때에도 기본 박에 맞도록 한다.
② 강박, 약박 느끼기(개념적 접근)
- 이미 아는 노래를 강박, 약박을 치며 노래부르기(기본 박, 3 박, 4박)- 강박과 약박이 뚜렷하게 구별되도록 한다.
☆ 개념 정리 : 음악은 흔히 강박과 약박의 규칙적인 흐름 위에 이루어진다.
③ 여린내기와 규칙적인 박자에서의 강박과 약박 느끼고 표현하기(개념적, 경험적 접근)
- 악곡이 약박으로 시작한다는 것을 감지하고 일정한 강박과 여린 박이 규칙적으로 진행되는 것이 박자임을 이해한다.(3 박자는 강 약 약, 4 박자는 강 약 중강 약)
- 못갖춘마디는 첫박이 약박으로 시작되며, 마디의 첫박은 어떤 박자에서는 강박임을 학생들 스스로 발견하게 한다.
☆개념 정리
• 3박자의 셈여림은 강 약 약, 4 박자는 강 약 중강 약의 규칙적인 배열이다.
• 못갖춘마디는 첫박이 약박으로 시작된다.
④ 3 박자와 4박자의 악곡을 들으면서 강박, 약박을 느끼고 표현하기(느껴지는 대로 자유롭게 신체 반응을 하도록 한다.) (경험적, 통합적 접근)
- 쇼팽의 녹턴 op. 15, No. 1.(Andante Cantabile), 3/4박자 못갖춘마디의 곡을 들려 주고 흐름결의 강박과 약박을 감지하여 신체적으로 표현하고, 몇 박자의 곡인지 발표하게 한다.
- 쇼팽의 녹턴 op. 55, No. 1.(Andante), 4/4박자 못갖춘마디의 곡을 들려주고 흐름결의 강박과 약박을 감지하여 신체적으로 표현하고, 몇 박자의 곡인지 발표하게 한다.
⑤ 음악 표현을 할 때에는 우리가 말하거나 시를 읽을 때처럼 일정한 곳에서 쉬어야 하며, 이는 음악의 전체적인 표현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이해하게 한다.(개념적, 경험적 접근)제9장 학습 지도 계획
- 제재곡의 가사를 음미하며 읽고, 쉬어야 할 부분을 체크(V. , 등으로) 하도록 한다.
- 자신이 표시한 숨쉬기 표시와 제재곡의 악보에 표시된 숨쉬기 부분이 일치하는지 확인하도록 하며, 올바른 숨쉬기에 대하여 서로 토의하도록 한다. 또한 시를 읽거나 노래를 부를 때, 엉뚱한 곳에서 숨을쉬어 보고 이에 대하여 토의한다. 즉, 가사의 중간에서 숨을 쉼으로해서 흐름결이 무너지거나, 가사 전달이 안 되거나, 노래가 자연스럽지 않게 된다는 점에 유의하도록 한다.
☆ 개념 정리 : 숨쉬기는 음악의 전체적인 표현에 영향을 준다.)
⑥ 제재곡의 흐름결 패턴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하게 한다.(통합적, 창의적 접근)
- 3/4박자는 한 마디 안에 J(4분음표)를 1박으로 기준해서 3개씩들어 있는데 못갖춘마디로 시작할 경우 마지막 마디는 J(JJ) 두박으로 되어 첫마디와 마지막 마디를 합하면 3박이 된다. 못갖춘마디의 다른 악곡도 찾아 보고 확인한다.(예곡 : 브람스의 자장가, 성불사의 밤, 옛 동산에 올라 등)
- 음표와 쉼표를 섞어 3/4박자의 못갖춘마디 흐름결 패턴 만들기
다양하게 창작된 흐름결꼴을 지어 연주하고 비평하기
⑦ 제재곡을 여러 가지 빠르기로 노래불러 보기(경험적, 개념적 접근)
- 제재곡을 빠르게, 보통빠르기, 조금 느리게, 아주 느리게의 4단계로 노래불러 보고 어떤 빠르기가 가장 이 곡에 잘 어울리는지 토의하여 정하고, 빠르기가 곡의 성격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하여도 서로 의견을 나누도록 한다.
☆ 개념 정리 : 빠르기는 악곡의 성격을 뚜렷이 해 주는 표현적 요소이다.
⑧ 교사의 범창, 범주나 레코드로 악곡을 듣고 점점 빠르게, 점점 느리게의 빠르기의 변화를 감지하고 토의하기(개념적, 통합적, 경험적 접근)
- J.S. Bach의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5번 2악장' (점점 느리게)의 악곡
을 듣고 빠르기의 변화를 감지하고 그 효과에 대하여 토의한다.
- 쇼팽의 발라드 1번, op.23의 곡에서 wit(점점 느리게)와 accel(점점르게)의 부분을 교사가 연주하는 것을 듣고 변화에 대해 토의한다.
- 제재곡의 마지막 부분에서 빠르기에 변화를 준 이유와 그 효과에 대하여 토의한다. 이미 아는 노래의 끝부분에 점점 느리게의 변화를 주어 노래해 본다.
- 이미 배운 노래들 중에서 빠르기에 변화를 준다면 표현이 풍부해질 수 있는 곡을 같이 상의하여 결정하고, 어느 부분에 어떤 빠르기의 변화를 줄 것인가에 대해 토의한 다음 연주해 본다. 짧은 노래 등을 새롭게 배우고, 배우는 과정에서 빠르기의 변화를 주어 연주해 보고 분석, 토의한다.
☆ 개념 정리 :
• 빠르기의 변화는 악곡을 다양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악곡의 마지막 부분에 점점 느리게의 변화를 주면 끝마침의 효과가 더욱 뚜렷해진다..
⑨ 대체적으로 크게 또는 작게 연주된 곡을 듣고, 큼작음의 변화에 따라 신체 반응하고 토의하기(경험적, 통합적, 개념적 접근)
- 교사의 범창, 범주로 이미 배운 노래나 배우지 않은 노래, 혹은 연주를 듣고 큼작음의 변화를 감지하고 신체 반응한다.
- 생상의 동물의 사육제 '백조' (작게), 농악(크게)를 듣고 신체 반응한다. - 이미 배운 노래를 크게 또는 작게 변화를 주어 노래해 보고 토의한다. - 대체적으로 크고 작은 소리를 내는 악기를 구분해 보고, 악기와 주위의 물건들을 이용하여 큰 소리, 작은 소리를 표현해 본다.
- 교사 또는 학생이 지시하는대로 큼작음을 표현해 보고, 큰 소리와 작은 소리를 내게 하는 원리를 이해하며, 음악에서의 큼작음의 효과에 대하여 토의한다.
☆ 개념 정리 :큼작음은 악곡의 성격을 뚜렷이 해 주는 표현적 요소이다.① 교사의 범창, 범주나 녹음된 기악곡을 들으면서 큼작음의 변화를 감지하고 표현하기 (창의적, 개념적 접근)
- 교사는 점점 크게, 점점 작게의 변화를 주어 범주를 하고 음악적 표현에 대해 의견을 나눈 다음에 학생들로 하여금 큼작음의 변화에 따라 즉흥적으로 신체 표현을 해 보도록 한다.
- 큼작음의 변화가 잘 나타난 기악곡(예, 모차르트의 “밤의 소곡")이나 교사가 연주하는 곡을 듣고, 큼작음의 변화에 대해 토의한다.
- 이미 배운 노래를 부르고, 어느 부분에 어떤 큼작음의 변화를 줄 것인가에 대해 토의한 다음 연주한다.
- 국어 교과서나 시집의 시, 즉흥 창작한 짧은 시를 가지고 큼작음의
변화를 주어 낭독해 보고, 악기도 첨가해 보고, 신체 표현도 해본다. ☆ 개념 정리 : 큼작음의 변화는 악곡을 다양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① 큼작음의 음악 용어 익히기(개념적, 통합적 접근)
- I, pp, S, p, maf, mp, cresc., dim. => 의 용어 및 기호를 찾아 보고 의미를 파악한다. 이미 아는 노래 또는 즉흥 작품에 큼작음기호를 붙여 보고, 거기에 따라 연주해 본다. 또 이를 평가해 본다.
- 제재곡에 주어진 큼작음의 기호에 따라
바르게 연주해 보고, 또 큼작음의 변화를 전혀 주지 않고 연주해 본 다음 그 차이점을 토의하고, 큼작음 변화가 음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토의한다.
② 악곡에 지시된 악상 기호에 따라 바르게 지휘하기 (경험적 접근)
- 제재곡이 못갖춘마디의 곡이고, 3/4박에서 4/4박으로 자주 변박이 되며, 악상 기호가 두 마디 단위로 자주 바뀌는 점에 유의하며 바르게 지휘해 본다.
- 지휘자의 역할에 대하여 서로 토의하며, 불충분한 점에 대해서는 교사가 자세히 설명한다.334 제V부 학습 지도 계획 및 평가
- 유명 지휘자의 지휘하는 모습을 시청하게 한다.(교사의 의도에 따라 비디오 테이프를 편집한다.)
- 학생들 자신이 지휘를 하면서 자신의 지휘에 따라 노래부른다. - 몇 명의 학생을 지적하여 각각 지휘를 하게 하고, 나머지 학생들은 노래를 부르게 한다. 지휘자가 정확하게 지휘자의 역할을 다했는지, 또 학생들도 지휘에 따라 정확히 표현했는지 평가해 본다. ☆ 개념 정리
• 지휘자는 연주자들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중앙 위치에 서서 몸의 무게를 약간 벌린 양발에 고루 두고, 팔은 근육에 불필요한 긴장을 최대로 막을 수 있는 범위에서 자연스럽게 올려 부드럽게 박자를 젓는다.
• 지휘자는 빠르기를 정확하게 정하여 박자 젓기를 해야 하며, 작곡가가 요구하는 악상의 표현을 책임있게 전달해야 한다.
③ 제재곡(사장조)을 제 힘으로 계이름으로 보고 부르기(개념적, 경험적 접근)
- 사장조는 '사'음을 으뜸음으로 하여 구성된 장음계 (3-4, 7-8음 사이가 반음이고, 나머지는 온음인 음계)임을 이해하고 계이름으로 보고 부른다. - 처음에는 흐름결을 무시하고 정확한 음높이를 내도록 하고, 익숙하게 되면 흐름결에 따라 노래부르도록 한다. 점차로 초견에 의하여 시창할 수 있도록 반복하여 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 제재곡에서 가장 낮은 음과 가장 높은 음을 감지하고, 가락은 음이 차례로 움직이기도, 뛰어 움직이기도 한다는 것을 알고 차례가기 부분과 뛰어가기 부분(3 도, 5도, 6도 등)을 찾아 표현해 본다.
- 제재곡에서 같은 가락꼴이 있는지 찾아 보도록 한다. (제재곡은 전부 다른 가락꼴로 이루어진 악곡이다.)
제재곡을 가사에 의하여 부르면서 음의 방향을 감지하며 가락의 높낮이를 몸움직임으로 표현해 보도록 한다. 또 공책에 그 윤곽을 그려보게 한다.
☆ 개념 정리
• 사장조는 '사' 음을 으뜸음으로 하여 구성된 장음계이다. • 가락은 음이 차례로 움직이기도 하고 뛰어 움직이기도 한다.• 높은 소리, 낮은 소리, 같은 높이의 소리들이 이어져서 가락을 이룬다.
④ 악곡을 이루는 단위인 동기(보통 2마디), 작은악절 (4 마디), 큰악절 (8 마디) 등을 파악하기(개념적, 통합적 접근)
- 제재곡에서 동기를 표시해 보도록 한다. 못갖춘마디의 곡인 것에 유의하여 표시하게 하며, 동기 부분만을 노래불러 보도록 한다.
- 제재곡에서 작은악절 부분을 모두 표시해 보도록 한다. 제재곡은 개의 작은 악절로 이루어져 있는지 파악해 보도록 하며, 첫번째 작은악절을 a로 표시할 때, 작은악절(4마디) 단위로 같은 가락꼴이면 a, 비슷하면 a', 다르면 b, C..… 등으로 표시하도록 한다.(이 곡은 모두 다른 가락꼴로 이루어진 곡이다.)
- 제재곡은 몇 개의 큰악절로 이루어진 곡인지, 즉 몇 도막 형식의 곡인지를 파악하도록 한다.(이 곡은 4개의 작은악절과 2개의 큰악절로 이루어진 두도막 형식의 곡이다.)
- 교사가 2마디의 동기를 주고 학생들로 하여금 동기를 발전시켜 작은 악절을, 작은악절을 반복하거나 조금 변화시켜 또는 제재곡에서처럼 다른 가락을 만들어 큰악절을 만들도록 하며, 학생 자신이 직접 연주하게 하고, 서로 평해 보도록 한다.
☆ 개념 정리
• 동기는 악곡을 이루는 데 필요한 최소 단위의 음악적 아이디어이다. 두 개의 작은악절이 모여 이루어진 큰악절의 악곡 형식을 한도막 형식이라고 한다.
⑤ 여러 가지 종지형을 여러 번 듣고 감지, 이해하기(경험적, 개념적 접근)
- 교사가 바른마침꼴(V - I)을 피아노로 여러 번 들려 주고 학생들로 하여금 어떤 느낌이 드는지 이야기해 보도록 한다. 제재곡의 종지부분, 또 다른 악곡의 종지 부분을 들려 주고 공통점을 찾아 내도록 한다.(마지막 화음은 대개 으뜸음으로 끝난다.)
- 제재곡의 첫째 작은악절과 셋째 작은악절 끝부분을 연주하고 학생들로 하여금 어떤 느낌이 드는지 이야기해 보도록 한다.(가락이 계속하여 진행될 듯한 느낌을 준다 - 이를 반마침(? - V))이라고 한다.
- 찬송가의 끝부분(변격종지 또는 아멘종지(N - I)을 들려준다. ☆ 개념 정리 : 악곡의 종지는 화음의 특정한 연결로도 느낄 수 있다. ①⑥ 제재곡의 화음 결정하기 (경험적, 개념적 접근)
- 제재곡의 가락을 한 마디 단위로 계이름을 읽으면서 주요3화음(I,, V) 중에서 어떤 화음을 주어 연주하는 것이 가장 잘 어울리겠는지 토의하도록 한다. 교사 또는 학생이 결정한 화음대로 연주하고 평하며 더 좋은 화음을 찾도록 한다. 교사는 주요 3 화음보다 부 3화음이 더 어울리는 곳이 있음을 시범 연주를 통해 학생들이 듣고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C 화음보다 Em 화음이 더 어울리는 곳이 있다.)
☆ 개념 정리
• 화음은 가락의 반주로도 쓰인다.
• 화음의 반주는 주로 주요3화음을 쓰는데, 가락과의 자연스러운
어울림을 위해서 부3 화음을 쓰기도 한다.① 전문 성악가의 연주를 감상하고 비평하기(경험적, 개념적 접근)
바리톤 김부열이 부르는 “사공의 노래"를 감상하고, 음악의 표현성 (가사 전달, 악상 기호, 발성 등) 및 음색, 음질 등에 대하여 비평하고 자신 또는 다른 학생이 부르는 것과 비교하여 다른 점, 좋은 점 등을 발견해 보도록 한다.
- 위에서 토의한 것에 유의하여 자기만의 독특한 음색으로 개성있게 또 이 곡의 분위기와 어울리는 음질로 표현해 보도록 한다.
☆ 개념 정리 • 사람은 저마다 독특한 음색을 가지고 있다. 성대의 구조와 생김새에 따라 음색이 달라진다. • 창법에 따라 음질이 달라진다. • 연습의 정도와 정신 집중도에 따라 음질이 달라질 수도 있다.